전체 글 (27) 썸네일형 리스트형 JSON으로 세이브/ 로드 구현(작성중) Json에 데이터를 저장해서 세이브/로드를 구현해 볼려고 한다. 먼저 DataManager.cs를 만들고 싱글톤을 사용했다. 저장할때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시킬 SaveData클래스를 만들었다. Json을 사용하기 위해서 System.IO를 선언했다. SaveData 클래스를 Serializable로 데이터 직렬화를 시켰다. 공부를 하다보니 스크립트 직렬화의 필요성을 알게되었다. Unity Documentation 참고-스크립트 직렬화 - Unity 매뉴얼 (unity3d.com) 스크립트 직렬화 - Unity 매뉴얼 직렬화는 데이터 구조나 오브젝트 상태를 Unity 에디터가 저장하고 나중에 재구성할 수 있는 포맷으로 자동으로 변환하는 프로세스를 말합니다. Unity 에디터에서는 저장 및 로딩, 인스펙터 .. A* 알고리즘_1(공부중) A*알고리즘으로 유니티에서 길찾기를 구현해 볼려고 한다. A*알고리즘은 주어진 출발 꼭짓점에서부터 목표 꼭짓점까지 가는 최단 경로를 찾아내는(다시 말해 주어진 목표 꼭짓점까지 가는 최단 경로임을 판단할 수 있는 테스트를 통과하는)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A* 알고리즘은 출발 꼭짓점으로부터 목표 꼭짓점까지의 최적 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각각의 꼭짓점에 대한 평가 함수를 정의해야 한다. 이를 위한 평가 함수 f(n)은 다음과 같다. f(n) = g(n) + h(n)g(n) : 출발 꼭짓점으로부터 꼭짓점 n까지의 경로 가중치h(n) : 꼭짓점 n으로부터 목표 꼭짓점까지의 추정 경로 가중치 이 알고리즘은 이 휴리스틱 추정값의 순서로 꼭짓점을 방문한다. ※ 휴리스틱: 불.. shader_1 학교에서 배운 shader를 이용해서 유니티 내에서 움직이는 배경을 만들어 볼려고 한다.텍스쳐 하나를 집어 넣는 기본적인 쉐이더다. 움직이는 배경을 만들기위해 좌로 움직임을 줬다. 매우 잘된다. 이제 외부에서 쉐이더에 접근해서 배경이 움직이는 속도를 조절을 해볼려고 한다. 쉐이더에서 움직이는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마우스 좌클릭시 쉐이더의 움직임 속도를 10배 빠르게 구현했다.코루틴을 사용해서 3초동안 속도가 쉐이더의 speed를 초기 값 1에서 10으로 바꾼후 3초 후에는 다시 원래 값인 1로 초기화를 했다. 잘된다ㅎㅎㅎ 다음번에 이것들을 활용해서 러닝게임을 만들어 볼려고 한다. 다음2024.07.31 - [unity] - shader_2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