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이더 그래프를 사용하면 코딩으로 셰이더를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노드 그래프를 기반으로 셰이더를 작성할 수 있다.
오늘은 간단하게 처음부터 셰이더 그래프를 만드는 것부터 시작해서 공부해 보겠다.
일단 sphere에 unlit shader graph를 적용시킨 material을 넣었다.
유니티 유튜브채널에 나와있는 튜토리얼을 따라해 보겠다.
https://www.youtube.com/watch?v=VvK7sLbbLYE
튜토리얼을 따라하다 내 나름대로 색깔도 HDR로 바꿔보고 텍스쳐도 입혀봤다.
그리고 텍스처의 색깔까지 바꿔봤다
fresnel effect를 사용하면 오브젝트의 표면에만 효과를 줄수 있다.
https://docs.unity3d.com/kr/2022.3/Manual/StandardShaderFresnel.html
프레넬 효과 - Unity 매뉴얼
현실 세계에서 오브젝트를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중요한 방법 중 하나는 지표각에서 반사가 더 강해진다는 사실과 관련이 있습니다(아래 그림 참조). 이를 프레넬 효과(Fresnel Effect)라고 합
docs.unity3d.com
타임 노드와 uv노드를 add해서 일렁이는 효과를 줬다.
오늘은 튜토리얼을 따라하면서 맛만 봤는데 다음에는 모델 에셋을 하나 가져와 더 이것저것 공부한 것을 바탕으로 적용을 해봐야 겠다.
확실히 처음에는 어색했는데 코드로 치는것 보다 편리한 점들이 많은것 같다.
'un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shader_3 (0) | 2024.08.28 |
---|---|
스크립터블 오브젝트 (0) | 2024.08.28 |
shader_2 (0) | 2024.07.31 |
유니티 생명주기 (0) | 2024.07.28 |
Dictionary (0) | 2024.07.27 |